최근 10년 사이 만성콩팥병 환자가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.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, 2013년 15만850명이던 환자 수가 2023년에는 32만6,736명으로 크게 늘었습니다.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 환자의 81.5%를 차지하고 있어 노년층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만성콩팥병은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고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목차

만성콩팥병이란?
만성콩팥병(만성신부전)은 콩팥의 기능이 떨어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환입니다. 체중의 0.5%에 불과한 콩팥은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내고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합니다.
이 질환은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1~5기로 구분되며,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발견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따라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.
만성콩팥병의 주요 원인
만성콩팥병 발생 원인의 약 70%는 당뇨병과 고혈압입니다. 이 두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콩팥 기능이 더 빨리 저하될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:
- 사구체신염: 콩팥에서 혈액을 여과하는 모세혈관 덩어리(사구체)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
- 다낭성 신장 질환: 콩팥에 여러 개의 낭종(물혹)이 생기는 질환
- 자가면역질환: 면역체계가 자신의 신장 조직을 공격하는 질환
만성콩팥병의 증상과 징후
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지만, 콩팥 기능이 점차 떨어지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:
- 피로감과 식욕부진
- 발, 발목, 다리의 부종
-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
- 소변 색이 검붉게 변하거나 거품이 오랫동안 유지됨
- 야간뇨가 반복됨
이지은 인천힘찬종합병원 신장내과 센터장은 "만성콩팥병은 신장이 점점 손상돼 기능을 잃는 질환으로,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알아채기 어렵다"고 설명합니다.
만성콩팥병의 합병증
만성콩팥병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:
- 빈혈: 콩팥에서 생성되는 적혈구 생성 호르몬 부족으로 발생
- 고칼륨혈증: 콩팥이 칼륨을 적절히 배출하지 못해 발생
- 심뇌혈관 질환: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만성콩팥병 환자는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주요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일반인보다 약 11.1배 높습니다.
음상훈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"콩팥은 한 번 손상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"고 강조합니다.
만성콩팥병 환자의 영양 관리
김지은 고대구로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"만성콩팥병을 예방하고 악화하는 걸 막기 위해선 고혈압‧비만 등 기저질환 관리가 가장 중요하고, 그다음으로 영양관리가 필수적"이라고 말합니다.
나트륨(소금) 섭취 제한
만성콩팥병 환자는 콩팥 기능 저하로 나트륨 배출이 어려워 혈압 상승과 부종의 위험이 높습니다. 따라서 저염식이 필수적입니다.
- 1‧2기: 하루 2,300mg 이하 나트륨 섭취
- 3·4기: 하루 1,500mg 이하 나트륨 섭취
- 5기: 하루 1,000mg 이하로 엄격히 관리
단백질 섭취 주의
단백질을 구성하는 질소화합물 등이 모두 신장에서 배출되기 때문에,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이 단백질을 과하게 섭취할 경우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. 소변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노폐물이 몸 안에 쌓이는 '요독'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.
과일 섭취 시 주의사항
과일에 포함된 칼륨이 체내에 축적되면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다음 과일은 주의가 필요합니다:
섭취 주의 과일(고칼륨):
- 바나나
- 오렌지
- 자두
- 감
적당히 섭취 가능한 과일(저칼륨):
- 사과
- 배
- 포도
- 복숭아
단, 주스 형태로 섭취할 경우 당분이 농축되어 혈당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약물 복용 시 주의사항
김지은 교수는 "만성콩팥병 치료제 외에 다른 약물 복용이 필요할 경우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 복용 여부 및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"고 조언합니다.
복용하는 약제는 간과 신장에서 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, 신장 기능이 떨어진 상태에서 약을 복용할 경우 대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체내에 쌓이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조언
- 정기적인 검사: 국가건강검진에서 진행하는 신장 기능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, 주기적으로 단백뇨 검사나 사구체여과율을 측정하세요.
- 기저질환 관리: 당뇨병,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을 철저히 관리하세요.
- 건강한 생활습관: 적절한 운동, 금연, 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세요.
- 식이요법: 저염식과 적절한 단백질 섭취, 칼륨 함량이 높은 음식 제한 등 영양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세요.
- 전문가 상담: 약물 복용이 필요할 경우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세요.
만성콩팥병은 한번 악화하면 되돌리기 어렵지만,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 특히 60대 이상 고령자와 당뇨병, 고혈압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생활습관 관리를 통해 콩팥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
같이 보면 좋은 글
- 같이 보면 좋은 글 : [Duty Cycle of Life] - SNS 속 타인의 과시와 박탈감: 건강한 사용법을 찾아서
- 같이 보면 좋은 글 : [Duty Cycle of Life] - 유방암 치료 후 나타나는 림프 부종, 고위험군은 누구인가?
- 같이 보면 좋은 글 : [Duty Cycle of Life] - 운동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: 유전적 심혈관 질환 위험과 운동 효과의 한계
★ 참고 URL 링크 ★